미니 최초의 전기차, 에이스맨의 등장
미니 브랜드가 처음으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적용한 ‘에이스맨’을 공개했다. 단순한 전동화가 아닌, 처음부터 전기차로 설계된 미니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크기로 보면 기존 미니쿠퍼 3도어보다는 크고, 컨트리맨보다는 작은 크로스오버 형태다. 그래서 도시에서 쓰기 좋은 SUV 같은 느낌이 들면서도, 미니 고유의 감성과 아기자기함은 유지된다. 특히 클럽맨의 단종으로 아쉬워했던 소비자라면, 에이스맨이 그 빈자리를 채워줄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한눈에 봐도 귀엽지만 고급스러운 외관과 특유의 미니 엠블럼, 투톤 컬러 조합은 ‘브랜드 감성’을 강조한다. 더불어 미니쿠퍼 특유의 ‘재미있는 차’라는 포지션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기차 시대에 어울리는 실용성과 효율을 갖췄다는 점에서 새로운 전기차 팬층을 사로잡을 준비를 마쳤다. 이 차는 단순히 귀여운 차 그 이상으로, 프리미엄 소형 전기차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데 성공했다.
감성과 실용성 사이, 균형 잡힌 디자인
미니 에이스맨의 가장 큰 매력은 ‘감성’과 ‘실용성’의 조화를 이뤘다는 점이다. 외관 디자인은 예전보다 각지고 미래지향적인 형태로 변화했지만, 여전히 미니의 DNA는 선명하다. 전면부는 간결하면서도 디테일이 살아있고, 후면은 클럽맨을 연상케 하는 통일감 있는 라인이 인상적이다. 스플릿도어가 아닌 일반형 트렁크 도어를 채택해 편의성을 높였고, 뒷유리에서 이어지는 테일램프 라인은 안정감을 준다.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설계된 만큼, 공간 배치가 효율적이다. 뒷좌석 레그룸은 이전 미니 모델보다 확실히 여유롭고, 트렁크는 기본 용량도 넉넉한 편이며, 2열 시트를 접을 경우 최대 1005리터까지 확장된다. 작지만 알찬 이 구조 덕분에 데일리카, 세컨드카로서 활용도가 높다. 또한 루프라인과 캐릭터 라인도 전통적인 미니 스타일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이 잘 섞여 있다. SUV와 해치백의 중간에서, ‘귀여움’과 ‘실용성’ 모두를 만족시키는 디자인이다.
디지털 시대에 맞춘 인테리어와 구성
에이스맨의 실내는 미니가 얼마나 진지하게 전기차 시대를 준비했는지를 보여준다. 인테리어의 중심은 삼성 OLED 패널을 적용한 원형 디스플레이다. 이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계기판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설정, 내비게이션, 멀티미디어까지 모든 인터페이스의 중심이 된다.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UI는 심플하면서도 직관적이며, 디지털 감성을 강화했다. 대시보드와 도어 패널에는 100% 재활용 직물이 사용돼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고, 미니 특유의 토글 스위치는 현대적인 감각과 어우러져 감성적인 터치로 작동한다. 공간은 작지만 곳곳에 실용적인 수납처리가 눈에 띄며, 무선 충전 패드나 USB-C 포트 같은 기본 기능도 잘 갖춰져 있다. 암레스트 구조나 컵홀더 배치도 효율적이고, 앰비언트 라이트와 패턴 표현도 세련됐다. 인테리어 전반에서 느껴지는 인상은 ‘작지만 디테일이 뛰어난 전기차’다. 단순히 예쁜 차가 아니라, 쓸수록 감탄하게 되는 차라는 점이 강하게 느껴진다.
주행 성능과 전기차 감성의 조화
에이스맨은 전기차로서도 높은 주행 완성도를 자랑한다. SE 트림 기준 최고 출력은 218마력, 최대 토크는 33.7kg.m에 달하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는 약 7.1초면 도달한다. 가속 성능만 보면 스포츠 해치백에 가까운 수준이다. 무엇보다도 미니 특유의 고카트 핸들링 감각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조향은 빠르고 직관적이다. 서스펜션은 단단하지만 불편하지 않은 수준으로, 도심과 교외를 넘나들기에도 적합하다. 전기차 특유의 저속 구간에서의 토크감은 탑승자에게 짜릿한 첫인상을 남기고, 회생제동과 주행 모드(익스피리언스 모드) 조합도 다양하게 제공된다. 주행거리는 국내 기준으로 312km, WLTP 기준 405km로, 실사용 기준 약 350km 정도는 충분히 커버 가능하다. 충전은 100kW급으로 빠른 편은 아니지만 일상 사용에는 불편함이 없다. 재미와 안정성, 효율을 고루 갖춘 드라이빙 감각이 에이스맨의 진짜 매력 포인트다.
가격, 보조금, 그리고 시장 경쟁력
에이스맨의 국내 출시가는 보조금 미적용 기준으로 E 트림 4,970만 원, SE 트림 5,800만 원으로 구성된다. E 트림은 출력 180마력 수준으로 실용적이지만 어댑티브 크루즈나 360도 카메라가 빠져 있어 아쉬움이 있다. 반면 SE 트림은 스탑앤고 기능이 포함된 어댑티브 크루즈, 차로 유지 어시스트, 전동 시트와 마사지 기능, 리모트 3D 뷰까지 갖춘 풀옵션급 구성이다. 정부 보조금과 지자체 지원, 딜러 할인 등을 감안하면 실제 구매가는 4천만 원 초반대로 낮아질 수 있다. 이는 국산 EV와 충분히 경쟁 가능한 수준이다. 특히 아이오닉 5, EV3 등과 달리 ‘프리미엄 감성’에 집중한 포지셔닝 덕분에 구매 이유가 확실하다. 단순히 실용성만 따지는 소비자보다, 감성과 브랜드를 중시하는 고객층에 강하게 어필할 수 있다. 미니가 만든 첫 전기차는, 귀여운 외모 안에 꽤 묵직한 전략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