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년 반 타본 BMW i4, 실제 오너 입장에서 본 장단점

by 옹이이 2025. 3. 28.

 

출처 BMW

 

디자인과 비율, 전기차보다 ‘BMW’에 가까운 완성도

BMW i4는 전기차임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BMW의 디자인 언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4시리즈 그란쿠페를 기반으로 제작된 만큼, 전체적인 비율은 매우 스포티하고 날렵하다. 특히 전면부의 키드니 그릴은 전동화 모델답게 폐쇄형으로 설계되었지만, 시각적인 임팩트는 여전히 강하며, 논란의 여지가 있었던 디자인도 도로 위에서는 오히려 존재감을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측면에서는 쿠페형 루프라인이 자연스럽게 떨어지면서 전기차 특유의 미래지향적인 느낌보다는 BMW 특유의 탄탄한 실루엣이 강조된다. 후면부 역시 볼륨감 있는 펜더와 간결한 리어램프 구성으로 전체적인 밸런스를 잘 잡고 있다. 특히 해치 형태로 열리는 트렁크는 실용성과 디자인을 모두 만족시키는 요소로, 세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SUV처럼 짐을 넣고 빼기 편하다. BMW 특유의 도장 품질도 만족스럽다. 실제 광택이나 펄감이 깊이감 있게 표현되어, 시간이 지나도 ‘질리지 않는 외관’이라는 인상을 남긴다.


주행 감각,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자연스럽다

i4는 BMW의 CLAR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이 플랫폼은 처음부터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전기차 모두를 고려해 설계된 구조로, 내연기관 기반 차량과 유사한 주행 질감을 제공한다. 실제로 가속 페달 반응, 스티어링 무게감, 서스펜션 셋업 등이 기존 가솔린 3시리즈 혹은 4시리즈와 상당히 흡사해 전기차임에도 전환 장벽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특히 컴포트 모드에서는 매우 부드럽고 예측 가능한 반응을 보여주기 때문에, 전기차 특유의 튀는 가속감이나 불연속적인 감속 패턴 없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스포츠 모드로 전환 시에는 340마력의 출력이 즉각적으로 반응하며, 후륜 기반 세팅 덕분에 운전의 재미도 충분하다. 또 하나의 장점은 어댑티브 회생제동 시스템이다. 앞차와의 거리나 속도에 따라 회생제동의 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원페달 드라이빙을 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러운 감속이 가능하다. 이런 세팅은 장거리 주행에서 피로도를 줄여주는 데도 도움이 된다.


승차감, 전기 세단 중에서도 높은 수준의 완성도

승차감은 BMW i4의 또 다른 강점이다. 이 차량에는 후륜 에어 서스펜션이 기본 적용돼 있으며, 주행 모드에 따라 댐핑 강도를 조절하는 가변 댐퍼도 함께 탑재되어 있다. 일상적인 주행에서는 노면의 잔 진동을 효과적으로 걸러주는 세팅이 돋보이며, 과속방지턱이나 요철을 넘을 때도 충격이 비교적 부드럽게 흡수된다.

컴포트 모드에서는 안락함이 우선시 되고, 스포츠 모드에서는 차체의 롤이 억제되면서 단단한 느낌이 살아난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 승차감의 성격이 달라지는 점은 운전자뿐 아니라 동승자에게도 긍정적인 요소다. 전기차 특유의 무거운 배터리 구조에도 불구하고 무게 중심이 낮아 전체적인 안정감이 뛰어나며, 테슬라 모델 3나 현대 아이오닉 6과 비교했을 때도 서스펜션 세팅의 성숙도가 높다는 인상을 준다. 고급차답게 주행 중 실내 정숙성도 뛰어난 편이다.


유지비 측면에서의 경제성, 충전 혜택이 결정적

BMW i4를 실사용하면서 가장 체감되는 부분 중 하나는 경제성이다. 전비 자체는 평균 수준으로, 공인 전비 4.6km/kWh, 실사용 기준으로는 5.5~6km/kWh 정도를 기록한다. 그러나 BMW는 차량 구매 시 초반 1년간 무제한 충전 카드를 제공한다. 이 혜택은 전기차 초보자나 일상 주행량이 많은 사용자에게 상당히 큰 체감 비용 절감을 안겨준다.

가솔린 차량 기준 연간 유류비가 약 300만 원 내외인 점을 고려하면, 무제한 충전 카드 덕분에 첫해 유지비는 사실상 ‘제로’에 가까워진다. 특히 차량 구매 직후 자주 타고 싶은 시기, 주말 여행이나 출퇴근이 반복되는 시기 동안 요금 걱정 없이 운행할 수 있다는 점은 만족도를 크게 높여주는 요인이다. 충전 속도는 800V 시스템을 탑재한 모델에 비해 아쉽지만, 일상 사용 범위에서는 큰 불편은 없다.


실사용에서 드러난 아쉬운 점들

완성도 높은 전기차임에도 불구하고 i4에는 분명한 단점도 존재한다. 가장 먼저 지적되는 부분은 타이어 마모다. i4는 후륜구동 기반 전기차로, 초반부터 높은 토크가 뒷바퀴에 전달된다. 여기에 마이너스 캠버가 적용돼 있어 주행 안정성과 코너링 성능은 좋아지지만, 후륜 타이어의 안쪽이 빠르게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실제로 1만km도 되지 않아 타이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흔하다.

또 하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다. i4는 iDrive 8을 탑재하고 있는데, 열선 시트나 통풍 시트 조작이 몇 단계를 거쳐야만 가능해 직관성이 떨어진다. 더불어 BMW는 이후 출시 모델에 iDrive 8.5를 적용하며 개선된 UI를 제공했지만, 기존 8.0 사용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외에도 하만카돈 스피커의 음질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도 있고, 급속 충전 속도가 최신 전기차 대비 다소 느리다는 점은 아쉽다.

구매 전에는 충분한 시승과 확인이 필요하다. 전기차지만 여전히 ‘BMW다움’을 간직한 i4는, 프리미엄 전기 세단 시장에서 매력적인 선택지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