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보레 스파크, 전기차로의 깜짝 부활
브라질에서 열린 GM 100주년 행사에서 쉐보레가 공개한 ‘스파크 EUV’는 사실상 중국의 바오준 예플러스를 기반으로 한 모델이다. 이 차량은 GM과 중국의 상하이차, 울링이 만든 합작 브랜드인 SGM-W에서 개발된 모델로, 쉐보레 엠블럼만 부착한 형태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특히 가격은 한화 약 1,900만 원 수준으로 책정되었으며, 만약 이 가격이 국내 출시에도 적용된다면 전기차 보조금 적용 후 실 구매가가 1,300만 원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어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기존 스파크와는 외관만 닮았을 뿐, 차량의 플랫폼과 성격은 완전히 다르다. 볼트 EUV와 같은 전략처럼 'EUV'라는 명칭을 붙여 SUV 스타일의 소형 전기차로 재탄생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단종된 스파크의 이름값을 활용하되, 실질적으로는 전혀 새로운 차량이라는 점에서 소비자의 반응이 주목된다.
바오준 예플러스와의 유사성… 사실상 동일 모델
새로운 스파크 EUV는 외형상으로 중국 바오준의 ‘예플러스(E-Plus)’와 거의 동일하다. 실제로 해당 모델은 중국 내에서도 GM의 합작사인 SGM-W에서 제조되고 있으며, 이번에 브라질 시장을 시작으로 글로벌 판매에 나설 계획이다. 바오준 예플러스는 전장이 3,996mm, 휠베이스가 2,560mm로 쉐보레 SUV 라인업 중 가장 작은 모델에 속한다. 실내는 10.2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센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있어 소형차답지 않은 구성을 갖추고 있다. 특히 드론 제조사 DJI가 개발한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가 적용된 점도 눈에 띈다. DJI의 자율주행 기술은 이미 바오준 클라우드 차량에 적용되어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스파크 EUV에도 동일한 시스템이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픽업트럭형 컨셉트까지 개발되었을 만큼 플랫폼의 확장 가능성도 열려 있어, 향후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기대되는 차량이다.
270km 예상 주행거리와 가격 경쟁력
스파크 EUV의 배터리는 41.9kWh 용량이며, 중국의 CLTC 기준으로 약 401km의 주행거리를 인증받았다. 국내 WLTP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270km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도심 위주의 주행이나 세컨드카 용도로 충분한 거리다. 이처럼 준수한 주행거리와 1,900만 원이라는 낮은 가격은 중저가 전기차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요소다. 과거 스파크 EV는 천만 원대의 내연기관 스파크와 동일한 내장을 가지고도 3,000만 원 이상에 판매되어 큰 반향을 얻지 못했지만, 이번에는 가격, 디자인, 주행거리 모든 면에서 상품성이 강화되었다. 특히 디지털 콕핏, 대화면 디스플레이, ADAS 시스템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는 점도 긍정적이다.
쉐보레의 글로벌 전략 변화와 중국차 수출 규제
GM이 중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글로벌 시장에 판매하려는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수출 할당제’가 있다. 일정 비율 이상을 해외에 수출하지 않으면 내수 판매를 제한받는 규정에 따라, 중국 자동차 브랜드들은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GM 역시 자사 내수 수요만으로는 부족한 상황에서 이런 중국 정부 정책에 맞춰 중국 생산 차량을 남미·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에 판매하고 있다. 예컨대 멕시코에서 판매 중인 2024 쉐보레 아베오 역시 중국에서 생산된 모델을 수입해 판매 중이며, 내부적으로는 GM 합작사의 울링 배지를 달고 중국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원가 절감을 통해 신흥시장 공략을 가속화하려는 GM의 현실적인 선택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차량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각국의 소비자 수요에 맞춘 현지화 전략도 병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 출시 가능성과 국내 전기차 시장 전망
현재로서는 스파크 EUV의 한국 출시 가능성은 낮다. 브라질이나 멕시코와 같은 신흥시장과는 시장 수요, 규제, 소비자 기대치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도 2,000만 원 이하 전기차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원화 약세와 미국산 수입차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저가형 모델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국내 브랜드가 빠르게 대응하지 못할 경우, GM이나 스텔란티스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가 중국산 전기차를 한국에 들여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볼보, BMW, 테슬라 등도 중국 생산 모델을 한국에 판매 중이며, 소비자들의 인식도 점차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 전기차 구매 시 가장 큰 변수가 ‘가격’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스파크 EUV와 같은 모델의 등장이 국내 시장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